본문 바로가기
경제뉴스 모아보기

SK하이닉스, 2025년부터 용인 1공장 착공한다.

by 뉴스비서 찬클하우스 2022. 11. 21.
반응형

안녕하세요!

당신의 뉴스비서 찬클하우스
오늘의 경제자료를 들고 왔습니다.

 

오늘의 뉴스는 "SK하이닉스, 용인에 반도체 클러스터 공장 짓는다."의 내용을 준비했습니다.

 

1. 뉴스 요약 -  'SK하이닉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1 공장 본격화'를 요약해드립니다.

2. 뉴스에 없는 자료 - '반도체 산업 1편. 반도체를 만드는 회사가 각자 하는 역할이 다 다르다고?'를 모아서 보여드립니다.

3. 내 돈과 연관 짓기 - '반도체 후공정 벤더 정리'해드릴게요

 

그럼 오늘의 경제뉴스 브리핑 시작하겠습니다.

 


 

1. 뉴스 요약

 

SK하이닉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1공장 본격화

기사내용 요약 용수시설 구축 둘러싼 갈등 해결…오늘 협력MOU SK하이닉스, 120조 투자해 4개 공장 계획 내년 산단 조성 시작…2025년 1공장 착공 [서울=뉴시스]이현주 기자 =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n.news.naver.com

  •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용수 문제로 인해 발생한 여주시와 SK하이닉스의 갈등이 해결되어 반도체 공장 준공의 길이 열렸다.
  •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는 415만m²(약 125만 평) 규모 부지에 조성되는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생산기지로 총 120조 원을 투자해 4개의 반도체 공장(팹)을 짓기로 하고 소재˙부품˙장비 기업 50여 개 회사가 납품할 예정이다.
  • 향후 공사가 본격화되면 2025년 착공에 들어가 2027년 완공되어 반도체 양산을 시작할 수 있게 된다.

 


 

2. 뉴스에 없는 경제자료

반도체 산업 1편. 반도체를 만드는 회사가 각자 하는 역할이 다 다르다고?

 

경제에 대해 잘 알지 못해도 한 번쯤은 들어봤을 반도체!

반도체에 대해서 어느 정도 알고 계신가요?

 

지금은 2차 전지와 더불어 한국 수출의 2개의 축이라고 할 수 있는 반도체는 한국 주식시장에서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현재 시가총액 기준으로 1위인 삼성전자와 4위 SK하이닉스가 반도체를 만들고 있기에 반도체 산업은 한국 주식시장에서 중요한 산업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시가총액 순위(22.11.21.기준) 출처 - 네이버 증권
시가총액 순위(22.11.21.기준) 출처 - 네이버 증권

 

그렇다면 반도체는 무엇일까요? 반도체는 전기가 잘 통하는 물질인 '도체'와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 사이에 있는 물질을 말합니다. 즉, 어떨 때는 전기가 통하고 어떨때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물질이죠

 

전기가 통할 때는 '1'의 신호를 전기가 통하지 않으면 '0'의 신호를 주어 '0'과 '1'로 이루어진 전자기기의 신호를 제어하거나 기억하는데 필요하기 때문에 반도체를 '현대산업의 쌀'이라고도 부릅니다.

반도체 설명 1반도체 설명 2
출처 - 삼성전자 반도체 유튜브

 

자 그렇다면 오늘의 주제인 반도체를 만드는 과정에 따라 분류되는 역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래의 그림처럼 반도체 생태계는 총 6가지의 모습으로 되어있습니다.

이 중 한국과 관련 있는 'IDM', '팹리스', '파운드리', 'OSAT'를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반도체 생태계
출처 - 삼성전자 반도체 유튜브

 

먼저 살펴볼 곳은 IDM입니다.

IDM은 종합반도체기업의 약자로 반도체의 설계부터 생산, 판매까지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모든 과정을 다 하는 회사를 말합니다.

대표적인 회사는 한국의 '삼성전자'가 있습니다.

IDM 설명
출처 - 삼성전자 반도체 유튜브

다음은 팹리스입니다.

팹리스(Fabless)는 반도체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웨이퍼를 생산하는 설비(Fabrication facility, 줄여서 Fab)가 없다는 의미입니다.

즉, 팹리스 회사들은 반도체의 회로를 설계한 후 제작은 다른 회사에 맡긴 후 제작된 반도체를 판매합니다.

팹리스 설명
출처 - 삼성전자 반도체 유튜브

 

대표적인 회사는 미국의 '애플', '테슬라'가 있습니다.

이 두 회사는 자신들이 제작하는 제품에 맡는 설계도면을 만든 후 제작을 전담하는 회사인 '파운드리'와의 협력을 통해 반도체를 제작합니다.

 

대표적인 팹리스에서 제작한 반도체는 '애플'의 M2반도체, '테슬라'의 D1반도체가 있습니다.

이 두 회사의 반도체는 각자가 생산하는 제품에 맞춰서 설계되어있는 반도체입니다.

애플 M2 반도체테슬라의 'D1'반도체
애플의 'M2'반도체(좌), 테슬라의 'D1'반도체(우)

다음은 파운드리입니다.

파운드리(Foundry)는 팹리스에서 제작한 설계도면으로 반도체를 제작하는 회사입니다.

대표적인 회사로는 대만의 'TSMC'가 있죠

파운드리 설명
출처 - 삼성전자 반도체 유튜브

 

마지막으로는 OSAT입니다.

OSAT는 제작한 반도체가 잘 되는지 테스트하고 검사가 완료된 반도체를 패키징 하는 회사입니다.

 

반도체 테스트와 패키징의 과정을 후공정이라고 하는데 후공정을 전문으로 하는 회사입니다.

한국의 대표적인 OSAT기업으로는 '테스나'가 있습니다.

OSAT 설명 1OSAT 설명 2
출처 - 삼성전자 반도체 유튜브

 

자 이렇게 반도체 생산과정에 따른 분류에 대해 이야기해봤습니다.

 

그럼 오늘의 뉴스를 다시 보면 어떤 이야기를 하는지 알 수 있을 겁니다.

 

  •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는 415만m²(약 125만 평) 규모 부지에 조성되는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생산기지로 총 120조 원을 투자해 4개의 반도체 공장(팹)을 짓기로 하고 소재˙부품˙장비 기업 50여 개 회사가 납품할 예정이다.

 

여기서 이야기하는 팹이 웨이퍼를 생산하는 시설을 의미하고 있다것과

SK하이닉스는 팹이 있기 때문에 팹리스(설계만 담당하는 회사)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반도체에 대해서 알아보니 생각보다 뉴스가 쉽게 보이지 않으신가요?

 

오늘부터 하루에 하나씩 반도체에 대해서 알아가 볼 테니 천천히 뉴스비서 찬클하우스와 함께 공부해보시죠!


 

3. 내 돈과 연관 짓기

반도체 후공정 벤더 정리

 

오늘 반도체 생산과정에 따른 분류에 대해서 이야기해봤습니다.

그렇다면 위에서 언급한 IDM, 팹리스, 파운드리 말고 OSAT 기업에 대해서 조금 더 살펴보려고 합니다.

 

사실 OSAT과정에서도 많은 과정들과 회사들이 연관되어있습니다.

아래의 그림을 보면 총 8단계의 과정을 거쳐서 OSAT 즉, 후공정 과정별로 관련된 회사들이 되어있으니 참고하면 좋습니다

 

반도체 후공정 기업
출처 -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하나하나 기업에 대해서 찾아보다 보면 내 돈과 연관 짓기 좋을 것 같습니다.

 

어떤 것부터 봐야 하는지 잘 모르겠다면 서버용 반도체에 들어가는 기판, 즉 패키징에 필요한 초록색 판을 만드는 '대덕전자', '심텍'부터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매수 전에 충분히 파악하고 공부하고 매수하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오늘부터는 반도체 산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포스팅을 해봤습니다.

 

앞으로도 반도체에 대한 포스팅을 할 테니 많은 차근차근 뉴스비서 찬클하우스와 함께하시죠!

 

경제뉴스에 있는 자료들을 한눈에

내일도 당신의 뉴스비서 찬클하우스
다양한 자료를 모아 올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