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처음부터 시작하는 재테크

작은 돈부터 시작하는 저축 챌린지: 52주 저축법 활용하기

by 뉴스비서 찬클하우스 2025. 3. 29.
반응형

1. 52주 저축법이란?

저축을 해야 한다는 건 알지만, 돈을 모으는 것이 쉽지 않다고 느끼는 사람이 많다. 52주 저축법은 부담 없이 저축을 시작할 수 있도록 돕는 간단한 방법이다.

 

52주 저축법

원리

  • 매주 일정 금액을 증가시키며 저축하는 방식
  • 1년(52주) 동안 꾸준히 돈을 모으면 큰 금액을 저축할 수 있음
  • 소액부터 시작하므로 저축 습관을 들이는 데 효과적

이 방법을 활용하면 돈을 모으는 재미를 느낄 수 있고, 성취감도 높아진다.


2. 52주 저축법의 기본 방식

52주 저축법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뉜다.

① 1주 차 1,000원 시작 → 매주 1,000원씩 증가

가장 기본적인 방식으로, 1주 차에는 1,000원을 저축하고, 매주 1,000원씩 늘려가는 방법이다.

주차 저축 금액 총 저축액
1주차 1,000원 1,000원
2주차 2,000원 3,000원
3주차 3,000원 6,000원
... ... ...
52주차 52,000원 1,378,000원

1년 동안 약 138만 원을 저축할 수 있다.

② 반대로 52,000원부터 시작 → 매주 1,000원씩 줄이기

저축할 수 있는 여유 자금이 있다면, 첫 주에 가장 많은 금액을 넣고 점점 줄여가는 방법도 가능하다.

주차 저축 금액 총 저축액
1주차 52,000원 52,000원
2주차 51,000원 103,000원
3주차 50,000원 153,000원
... ... ...
52주차 1,000원 1,378,000원

초반에 더 많은 금액을 저축하고, 점점 부담을 줄여나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3. 52주 저축법을 성공적으로 실천하는 5가지 팁

1) 저축 통장을 따로 만들기

일반 계좌에 저축하면 쉽게 써버릴 수 있다. 전용 저축 계좌를 만들어 자동이체를 설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실천법

  • 자유적금 또는 입출금 통장 활용
  • 저축한 금액을 한 달에 한 번 정리하기

2) 자동이체 활용하기

매주 직접 돈을 저축하는 것이 귀찮다면 자동이체를 설정하면 더욱 쉽게 실천할 수 있다.

실천법

  • 매주 월요일 자동이체 설정
  • 1,000원 단위 또는 5,000원 단위로 설정 가능

3) 지출을 줄여 저축 금액 충당하기

추가적인 저축 금액을 마련하려면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실천법

  • 배달 음식 줄이고 직접 요리하기
  • 커피값 아끼기 (카페 대신 홈카페)
  • 필요 없는 구독 서비스 해지

4) 동기 부여를 위해 목표 설정하기

무조건 저축해야 한다는 생각보다는, 목표를 구체적으로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시 목표

  • 여행 경비 마련 (138만 원으로 해외여행 가능)
  • 비상금 모으기
  • 노트북, 스마트폰 구매

5) 가족, 친구와 함께 도전하기

저축은 혼자 하면 지루할 수 있지만,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 하면 동기 부여가 된다.

실천법

  • 친구와 ‘52주 저축 챌린지’ 도전하기
  • 서로 인증하며 동기 부여하기

4. 52주 저축법의 변형 버전 (유연하게 활용하기)

52주 저축법이 꼭 1,000원 단위일 필요는 없다. 자신의 재정 상황에 맞게 변형해서 적용할 수도 있다.

여유가 있다면 → 5,000원, 10,000원 단위로 저축

  • 5,000원씩 증가하면 1년 후 약 690만 원
  • 10,000원씩 증가하면 1년 후 약 1,380만 원

부담스럽다면 → 거꾸로 진행하거나, 절반만 실천

  • 52,000원부터 시작해 줄여가는 방식 선택
  • 26주만 실천해서 6개월 동안 모으기

자신의 재정 상태에 맞춰 유연하게 조정하면 더 지속 가능하게 실천할 수 있다.


5. 오늘 재테크 요약

  • 소액부터 시작해 점점 늘려가는 방식
  • 1년 동안 약 138만 원 저축 가능
  • 자동이체 설정, 가계부 활용 등 실천 팁 활용
  • 목표를 정하고 꾸준히 도전하면 성공 확률 증가

오늘부터 52주 저축법을 시작해 보자. 작은 습관이 모이면 큰 재정적 성취를 이룰 수 있다.

반응형